• 2025. 3. 10.

    by. 헬린이83

    농업, 건설, 공장 등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 미끄러짐, 낙상, 기계 사고, 무거운 물건 충격 등으로 인해 골절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골절은 단순한 부상처럼 보일 수 있지만, 잘못된 응급처치로 인해 뼈가 어긋나거나 신경·혈관 손상으로 악화될 위험이 있다.

    농작업안전관리 : 작업 중 골절 사고 발생 시 응급처치 방법
    농작업안전관리 : 작업 중 골절 사고 발생 시 응급처치 방법

     

    골절 발생 시 가장 중요한 것은 뼈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빠르게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골절 사고 발생 시 올바른 응급처치 방법과 병원 이송 시 주의사항을 자세히 알아보겠다.


    1. 농작업안전관리 : 골절의 종류와 주요 증상

    1) 골절의 종류

    골절(뼈가 부러짐)은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뉘며, 각각의 응급 처치법이 다를 수 있다.

    골절 유형 설명 응급처치 핵심

    폐쇄성 골절 피부가 찢어지지 않고 뼈만 부러진 경우 부목(고정도구)으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
    개방성 골절 뼈가 피부를 뚫고 나와 외부로 보이는 경우 출혈을 멈추고 감염 방지 후 고정
    분쇄 골절 뼈가 여러 조각으로 부러진 경우 부목 고정 후 절대 움직이지 않게 함
    압박 골절 척추나 관절 부위에서 뼈가 눌려 부러진 경우 함부로 움직이지 말고 바로 병원 이송

    2) 골절의 주요 증상

    극심한 통증 – 골절 부위를 조금만 움직여도 심한 통증
    부종 및 멍 – 피가 뼈 주변 조직으로 퍼지면서 붓기 발생
    비정상적인 움직임 – 팔이나 다리가 비정상적인 각도로 꺾임
    부러진 부위에서 소리 발생 – 뼈가 부러질 때 "뚝" 소리가 들릴 수 있음
    출혈 및 신경 손상 가능성 – 개방성 골절의 경우 출혈 동반


    2. 농작업안전관리 : 골절 사고 발생 시 응급처치 방법

    1) 기본 응급처치 원칙

    환자를 불필요하게 움직이지 않는다.
    골절 부위를 부목(임시 고정 도구)으로 단단히 고정한다.
    출혈이 있으면 지혈 후 감염 방지 조치
    통증 완화를 위해 얼음찜질(직접 피부에 닿지 않도록 주의)
    의식 및 호흡 확인 후 119 신고하여 신속하게 병원으로 이송


    2) 부위별 골절 응급처치 방법

    ✅ 팔(손목, 팔꿈치, 손) 골절 시 대처법

    부목으로 손목이나 팔을 단단히 고정
    삼각건(또는 천)을 이용해 팔을 가슴 쪽으로 고정
    손가락 끝이 보이도록 붕대를 감고 혈액순환 확인
    통증이 심할 경우 얼음찜질 시행

    ⚠️ 주의사항

    • 부러진 팔을 억지로 펴거나 구부리지 않음
    • 손가락 끝이 창백하거나 차가워지면 즉시 풀어주고 병원으로 이동

    ✅ 다리(허벅지, 무릎, 발목) 골절 시 대처법

    양쪽 다리 사이에 베개나 두꺼운 천을 끼워 움직이지 않게 고정
    부목(나무판자, 막대기 등)을 이용해 고정
    발목 골절 시 신발을 벗기지 않고 고정 후 병원 이송

    ⚠️ 주의사항

    • 절대 부러진 다리를 직접 움직이지 않음
    • 신발을 억지로 벗기려 하면 더 큰 손상 발생 가능

    ✅ 척추(등, 허리) 골절 시 대처법

    절대 환자를 움직이지 않음!
    딱딱한 판자(들것)를 사용해 옆으로 돌리지 않고 고정
    의식이 있는 경우 편안한 자세로 유지하며 119 신고

    ⚠️ 주의사항

    • 환자가 스스로 일어나도록 하지 않음
    • 허리를 구부리거나 무리하게 눕히지 않음
    • 골절 부위를 손으로 눌러보지 않음

    ✅ 개방성 골절(뼈가 밖으로 튀어나온 경우) 응급처치

    깨끗한 천으로 상처 부위를 덮어 감염 방지
    출혈이 있으면 지혈(너무 세게 묶지 않도록 주의)
    뼈가 보이더라도 원래 위치로 넣으려 하지 않음
    부목을 사용해 움직이지 않게 고정 후 즉시 병원 이송

    ⚠️ 주의사항

    • 절대 뼈를 억지로 밀어 넣지 않음
    • 출혈이 심할 경우 지혈대를 사용하지만, 15분마다 풀어주어 혈류 유지

    3) 지혈 및 붕대 감는 방법

    지혈 방법

    • 깨끗한 거즈나 천으로 압박하여 지혈
    • 출혈이 심할 경우 심장보다 높은 위치로 올림
    • 지혈대(끈, 벨트)를 사용할 경우 15~20분마다 한 번씩 풀어줌

    붕대 감기 방법

    • 부러진 부위 위아래를 감싸듯 고정
    • 너무 세게 감으면 혈류가 차단될 수 있으므로 손가락 끝이 창백해지지 않는지 확인

    3. 농작업안전관리 : 골절 환자의 병원 이송 방법

    119 신고 후 의료진 지시에 따름

    • 골절 유형(개방성, 폐쇄성 등)과 환자의 상태를 설명
    • 응급처치 후 안전하게 병원으로 이동

    부목이 잘 고정되었는지 확인

    • 이송 중 움직이면 손상이 심해질 수 있음

    환자가 의식이 없는 경우 기도 유지

    • 옆으로 눕혀 기도가 막히지 않도록 조치

    통증 조절 및 심리적 안정 제공

    • 환자의 불안감을 줄이고, 추가 손상을 막기 위해 안정적인 자세 유지

    4. 농작업안전관리 : 골절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

    작업 중 미끄러짐 방지

    • 미끄럼 방지 작업화 착용
    • 습한 환경에서는 신중한 이동

    무거운 물건을 들 때 올바른 자세 유지

    • 허리보다는 다리를 사용해 들어 올림
    • 한 번에 너무 많은 무게를 들지 않음

    안전 보호구 착용

    • 보호대, 장갑, 안전모 필수 착용

    기계 작업 시 주의

    • 농기계나 공구 사용 전 안전 점검 필수
    • 기계 작동 중 손발을 가까이 대지 않음

    골절 사고는 신속하고 올바른 응급처치가 매우 중요하며, 잘못된 조치가 추가적인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골절 부위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빠르게 병원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 "골절 사고는 예방이 최우선! 응급 조치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


    안전한 작업 환경을 유지하고, 골절 응급처치법을 숙지하여 비상 상황에서도 침착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