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업은 다양한 농기계를 활용하는 직업이지만, 농기계 사용 중 발생하는 사고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트랙터, 콤바인, 관리기, 경운기, 예초기 등의 농기계는 작업 효율을 높이지만, 조작 실수, 기계 결함, 안전 수칙 미준수 등의 이유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특히, 농기계 사고는 골절, 절단, 과다출혈, 장기 손상 등 중증 외상을 유발할 위험이 높기 때문에, 신속하고 올바른 응급 조치가 필요하다. 사고 발생 직후의 응급 처치 여부가 생명을 좌우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대응법을 숙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번 글에서는 농기계 사고 유형별 응급 조치 방법과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을 정리하여 소개하겠다.
1. 농작업안전관리 : 농기계 사고의 주요 원인과 유형
1) 농기계 사고 주요 원인
✅ 부주의한 조작 – 기계 작동 중 운전자의 실수 (급출발, 급회전, 후진 시 시야 확보 부족)
✅ 작업 중 미끄러짐, 전복 사고 – 불균형한 지형에서 작업하거나, 경사지 운행 시 발생
✅ 기계에 신체 일부가 끼이는 사고 – 회전하는 칼날, 벨트, 체인 등에 손, 발, 옷이 말려 들어감
✅ 과속 및 안전 장치 미작동 – 안전벨트 미착용, 브레이크 고장, 안전 보호대 미설치
✅ 정비 및 점검 미흡 – 오래된 농기계, 미정비 상태로 사용하여 기계 오작동 발생2) 농기계 사고 유형별 응급 조치 방법
사고 유형 주요 응급 조치
절단 및 심한 출혈 출혈 부위를 즉시 압박하여 지혈, 가능한 한 환부를 심장보다 높게 유지 골절(뼈가 부러진 경우) 부목(막대기, 나뭇가지 등)으로 고정 후 움직이지 않도록 조치 끼임 사고 기계 작동을 즉시 중단 후 구조 요청, 신체가 눌린 경우 함부로 당기지 않음 의식 불명(두부 손상 포함) 즉시 119 신고 후 기도 유지, 호흡 확인, 필요 시 심폐소생술(CPR) 화상(기름·전기 화재 등) 화상 부위를 차가운 물로 식힌 후 깨끗한 천으로 감싸 보호
농작업안전관리 : 농기계 사고 발생 시 응급 조치 요령 2. 농작업안전관리 : 사고 유형별 응급 조치 요령
1) 절단 및 심한 출혈 발생 시 대처 방법
✅ 지혈이 가장 중요!
- 출혈 부위를 압박하여 지혈 (깨끗한 천, 붕대, 손 등으로 눌러줌)
- 출혈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들어 혈류 감소
- 출혈이 심할 경우, 지혈대를 활용(허벅지, 팔 위쪽 묶기) (단, 15~20분마다 풀어줘야 함)
- 절단된 부위가 있는 경우, 깨끗한 거즈로 감싼 후 비닐봉지에 담아 얼음과 함께 보관
⚠️ 주의사항
- 오염된 천을 사용하면 감염 위험이 높음
- 절단 부위는 직접 얼음에 닿지 않도록 주의
2) 골절(뼈가 부러진 경우) 발생 시 대처 방법
✅ 뼈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 부목(나무, 신문지, 옷 등)을 사용해 고정 후 움직이지 않게 유지
- 골절 부위가 부어오르면 얼음찜질(수건으로 감싼 얼음 활용)
- 다리가 골절되었을 경우 두 다리를 함께 묶어 안정화
⚠️ 주의사항
- 절대 뼈를 원래 위치로 맞추려 하지 말 것
- 부러진 부위를 강제로 움직이면 신경 손상 가능
3) 기계에 끼임 사고 발생 시 대처 방법
✅ 기계 작동을 즉시 중단!
- 반드시 기계 전원을 차단하고 구조 요청 (함부로 신체를 빼내려 하면 더 큰 손상 발생 가능)
- 응급 구조대(119)가 도착할 때까지 환자를 안정시키고, 출혈이 있다면 지혈 조치
⚠️ 주의사항
- 기계에 끼인 신체를 갑자기 당기지 말 것
- 구조 요청 후 침착하게 대응
4) 의식 불명 및 두부 손상 발생 시 대처 방법
✅ 의식 확인 및 기도 확보
- 환자가 반응이 없으면 즉시 119 신고
- 호흡이 멈췄다면 심폐소생술(CPR) 실시
- 머리를 부딪혔다면 머리를 고정하고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
⚠️ 주의사항
- 두부 손상이 의심될 경우, 절대 머리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
- 경추(목뼈)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부목을 대거나 양쪽에서 고정
5) 화상(기름 화재·전기 화상 등) 발생 시 대처 방법
✅ 화상 부위를 빠르게 식히는 것이 중요!
- 즉시 찬물에 15~20분 이상 담가 화상 부위 열을 식힘
- 화상 부위를 깨끗한 천으로 감싸 보호 (감염 예방)
- 물집이 생겼더라도 터뜨리지 않음
⚠️ 주의사항
- 기름 화재의 경우 물을 붓지 말고 마른 천으로 덮어 산소 차단
- 전기 화상 시 감전 여부를 먼저 확인 후 접근
3. 농자겁안전관리 : 농기계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
✅ 농기계 조작 전 철저한 점검
- 사용 전 브레이크, 타이어, 엔진, 연료 상태 확인
- 농기계 매뉴얼 숙지 및 안전 작동법 익히기
✅ 안전 장비 착용 필수
- 안전모, 장갑, 보호안경, 장갑, 작업화 착용
- 안전벨트가 있는 기계(트랙터 등)는 반드시 착용
✅ 작업 중 부주의 금지
- 농기계 작동 중 휴대폰 사용 금지
- 옷소매, 장갑이 기계에 말려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
✅ 야간 작업 시 조명 확보
- 야광 조끼 착용 및 차량 반사판 부착
- 야간 운행 시 후방 주의 및 저속 운행
✅ 경사지 작업 시 전복 방지
- 급경사에서 기계를 세우지 않고, 서서히 이동
- 한쪽 바퀴가 들리면 즉시 속도를 줄이고 조향
농기계 사고는 순간적인 부주의로 인해 심각한 부상과 사망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올바른 응급 조치가 필수적이며, 평소에 철저한 안전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 "안전은 예방이 최우선! 응급 조치는 신속하게!" 🚑
농업인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기 위해 농기계 사용 전 안전 점검을 철저히 하고, 응급 처치법을 숙지하여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해야 한다.'농작업안전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작업안전관리 : 감전 사고 발생 시 응급 대처법 (0) 2025.03.10 농작업안전관리 : 농약 중독 응급 처치 및 병원 이송 방법 (0) 2025.03.09 농작업안전관리 : 농업 활동 후 빠른 회복을 위한 휴식법 (0) 2025.03.09 농작업안전관리 : 농업인 근육통 예방을 위한 마사지 요법 (0) 2025.03.08 농작업안전관리 : 장시간 야외 작업 시 피부 보호 대책 (0) 2025.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