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2. 24.

    by. 헬린이83

    농업에서는 농약, 화학비료, 생장조절제 등 다양한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작물의 생장과 수확량을 증대시킨다. 하지만, 잘못된 혼합 사용은 화학 반응을 일으켜 작물 피해, 토양 오염, 인체 유해성 증가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서로 다른 농약을 무분별하게 섞어 사용할 경우 약효 감소, 약해(작물 손상), 인체 건강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의 연구에 따르면, 농업용 화학물질의 혼합 사용으로 인한 작물 피해 사례 중 70% 이상이 잘못된 농약 혼합으로 인해 발생하며, 적절한 혼합 원칙을 준수하면 농약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농업용 화학물질(농약·비료·생장조절제 등)을 혼합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과 올바른 혼합 사용 방법을 정리하겠다.


    1. 농업용 화학물질 혼합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 1) 화학반응으로 인한 작물 피해(약해)

    📌 혼합한 성분이 작물에 독성을 유발하여 생장 저해, 잎 변색, 낙엽 등의 피해 발생
    ✅ 살균제 + 살충제 혼합 시 약해 발생 가능
    ✅ 엽면시비용 비료(칼슘제) + 농약 혼합 시 약효 저하 및 작물 잎 손상


    ✅ 2) 약효 감소 및 무효화

    📌 일부 농약과 비료는 특정 성분과 혼합 시 효과가 감소하거나 무효화됨
    ✅ 살균제(석회유황합제) + 유제 농약(유성 살충제) → 약효 감소
    ✅ 알칼리성 농약(석회유황합제) + 산성 농약(보르도액) → 중화 반응으로 효과 감소


    ✅ 3) 독성 증가 및 인체 유해성

    📌 잘못된 혼합은 인체에 유해한 가스를 발생시키거나 독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
    제초제 + 살충제 혼합 시 → 독성 증가로 인해 호흡기 및 피부 자극 발생
    유기인계 농약(살충제) + 카바메이트계 농약 혼합 시 → 신경계 독성 증가


    ✅ 4) 장비 손상 및 환경 오염

    📌 화학반응으로 인해 농기계·살포 장비 손상 가능
    ✅ 엽면시비용 비료(붕사) + 강산성 농약 혼합 시 살포 장비 부식
    ✅ 특정 농약 혼합 후 사용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환경 오염 유발


    2. 농업용 화학물질 혼합 시 주의할 점

    농업용 화학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할 때는 반드시 사용 설명서를 참고하고, 기본적인 혼합 원칙을 준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 1) 혼합 금지 원칙 확인

    📌 서로 혼합하면 안 되는 주요 농약 및 비료 조합

    금지 혼합 조합 발생 문제

    석회유황합제 + 유제 농약(유성 살충제) 화학 반응으로 약효 감소 및 약해 발생
    보르도액(구리제) + 유기인계 살충제 독성 증가 및 작물 피해
    제초제 + 살충제 독성 증가 및 잔류 농약 문제
    칼슘제(석회) + 황 성분 농약 강한 화학반응으로 작물 손상

    농약 혼합 전 반드시 제품 라벨(사용 설명서) 확인
    기본적으로 농약 3가지 이상 혼합 사용 금지 (예측 불가능한 화학 반응 가능)


    ✅ 2) 혼합 순서 준수

    📌 올바른 혼합 순서
    1️⃣ 물(희석제) 먼저 준비
    2️⃣ 입제(가루 형태) → 액상 농약 → 유제 농약 순으로 혼합
    3️⃣ 혼합 후 충분히 저어 균일하게 섞은 후 사용

    농약을 바로 혼합하지 말고, 소량 테스트 후 이상 여부 확인
    희석할 때 반드시 깨끗한 물(중성 pH) 사용


    ✅ 3) 농약과 비료 혼합 시 주의 사항

    📌 농약과 비료를 혼합하면 성분이 변질될 가능성이 높음
    알칼리성 비료(칼슘제) + 산성 농약 혼합 금지
    질소비료(요소) + 유기농약(제충국 추출물) 혼합 금지

    ✅ 비료와 농약을 함께 사용하려면 비료를 먼저 흡수시킨 후 일정 시간 뒤 농약 살포


    3. 올바른 혼합 사용 방법 및 안전 수칙

    ✅ 1) 안전한 혼합 사용 원칙

    📌 혼합 전 실험 실시
    ✅ 사용 전 소량으로 미리 혼합하여 변색, 침전물 여부 확인
    ✅ 실험 후 약해 발생 여부 확인 후 작물에 적용

    📌 사용 후 잔여 농약 처리 방법
    혼합한 농약을 장시간 방치하지 않고 즉시 사용
    ✅ 남은 농약은 하천이나 배수로에 버리지 말고 정해진 방법으로 폐기


    ✅ 2) 작업자 안전 보호

    📌 혼합 작업 중 보호 장비 착용 필수
    마스크(KF94 이상), 고무장갑, 긴 소매 작업복 착용
    환기가 잘되는 장소에서 혼합 작업 진행
    ✅ 농약 혼합 후 즉시 손과 얼굴 세척


    농업용 화학물질 혼합 사용 시 주의할 점
    농업용 화학물질 혼합 사용 시 주의할 점

    4. 친환경 대체 방법 및 안전한 농약 사용법

    ✅ 1) 친환경 방제법 활용

    📌 농약 혼합 사용을 줄이기 위한 대체 방법
    유기농 자재 사용 (예: 천연 살충제, 미생물제, 베이킹소다)
    돌려짓기(윤작) 및 저항성 품종 재배

    ✅ 2) 최소한의 농약 사용 실천

    📌 농약 혼합 사용을 줄이기 위한 방법
    ✅ 예방적 방제 → 병해충 발생 전에 미리 예방하는 방식 활용
    ✅ 한 번에 여러 농약을 섞지 않고 단일 농약을 순차적으로 살포


    농업용 화학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할 때는 올바른 사용 원칙을 준수하지 않으면 작물 피해, 환경 오염, 인체 건강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농약과 비료의 혼합 금지 원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혼합 순서를 지키며,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친환경 방제법을 도입하고, 최소한의 농약 사용을 실천하는 것이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해 중요하다. 농업인의 건강과 작물의 안전을 위해 올바른 화학물질 사용법을 실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